2023. 01. 31(화)
밸류맵 뉴스레터는 매주 2회 발송됩니다.
📌 화요일 부동산의 깊은 이야기를 담은 밸류토픽
📌 금요일 다양한 매물 소식을 만나볼 수 있는 금주의 매물 |
|
|
🗺️ 1월 마지막주 밸류토픽
새해 인사를 전한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1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지난 26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한 해 동안 토지 거래량이 전년 대비 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오늘 레터에서는 저희 밸류맵에서 조사한 '전국 토지 월별 거래 현황'에 대해 들려드릴게요 👂🏼 |
|
|
📊 밸류맵 데이터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땅값(인 줄 알았는데..)
|
|
|
📉 땅값, 결국 너마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땅값에도 브레이크가 걸렸습니다. 저금리 흐름 속에서 유동성이 풍부해지며 올랐던 전국 땅값이 갑작스런 고금리 시대에 접어들자 가격 하락은 물론이고 거래량도 함께 줄어들고 있거든요. 토지는 주로 장기로 바라보고 투자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그만큼 시간과 힘을 쏟아 투자를 할 만한 매수자가 점점 없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Show me the 전국 토지 월별 거래 현황
밸류맵이 국토교통부 토지 실거래가 신고를 분석한 '전국 토지 월별 거래 현황'을 보면 지난해 3월, 토지의 3.3㎡당 평단가는 157만 원까지 치솟았다가 이후 6월부터 12월까지 반년 동안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며 106만 원까지 빠지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도 마찬가지입니다. 2021년 3월, 8만 3천 건까지 올랐던 거래량이 작년 하반기 연이은 금리 인상 영향을 받으며 3만 2천 건까지 빠지게 된거죠.
|
|
|
📣 일반 거래와 지분 거래로 알아보는 전국 토지 거래량
일반 토지 거래의 경우 전국 17개 시, 도 모두 2021년 대비 2022년 거래량이 하락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다만 서울을 포함한 광역시는 39.4%나 떨어진 반면, 주로 거래가 이뤄지는 도 지역은 25.8% 정도 하락했고요. 개발용 토지의 거래는 큰 폭으로 줄었지만 도 지역에서 주로 거래되는 농지(전답과수)는 비교적 일정한 거래량을 유지한 셈이죠.
|
|
|
안타깝게도 일반 거래보다 지분 거래량의 하락 폭이 10%p 이상 낮게 나오며 시장에 대한 우려는 커져만 갑니다. 또 100%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지만 부동산 불경기임에도 불구하고 기획부동산에 의한 지분 쪼개기 거래량이 많은 지방 임야 토지의 영업이 활발히 이뤄졌다고 유추할 수도 있는데요, 개중 눈에 띄는 곳은 경상남도입니다. 재작년 1만 1946건이던 지분 거래량이 작년 1만 4134건으로 약 18.3% 상승했거든요.(지자체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보입니다 😥)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하며 기획부동산에 대응해왔던 경기도의 지분 거래 비율은 34.5% 정도 줄었습니다. |
|
|
🙉 2022년 일반, 지분 토지 거래 상위 20개 읍면동을 소개합니다.
일반 거래로만 봤을 때 가장 활발히 토지가 거래되는 곳은 화성시였습니다. 상위 20개 중, 화성시 소재의 면이 6건이나 포함되어 있었는데, 특히 1, 2, 3, 5위까지 4곳이 선정됐거든요. 지분 거래는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에서 약 4400여 건이나 발생하며 압도적 전국 1위를 기록했습니다. 2, 3위는 당진시 신평면과 석문면이 차지했고, 화성시 향남면과 송산면의 지분 거래도 여전히 많은 편에 속했습니다. |
|
|
😎 에디터의 시선
2023년 부동산 키워드는 'MOVING VALUE'
|
|
|
2023년 1월,
부동산 뉴스를 톺아보면
올해 들어 부동산과 관련해 자주 언급된 이슈는 무엇일까요? 주로 '규제지역 해제'라는 기사 제목을 많이 보셨을 텐데요, 지난해 말부터 올해 1월이 끝나가는 현재까지 부동산과 관련된 다양한 규제, 완화 정책이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
|
|
중요한 건 부동산의 가치
그럼 사람들은 왜 규제 해제, 완화 소식에 귀를 기울이는 걸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부동산의 '가치'가 변화하기 때문이죠. 침체됐던 분양 시장으로 하락된 건설 경기와 주택 공급 위축으로 이어지는 걸 막을 수도 있고, 끝없이 떨어지던 집값이 반등할 수도 있거든요.
재산은 부동(不動) ㅡ 가치는 동(動)
그래서 밸류맵은 올해 부동산 시장을 바라볼 때, '움직이지 않는 재산'보다도 그에 더해진 '가치'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늘 같은 위치에 있을 수 밖에 없는 게 부동산이라지만 시대에 따라, 또 상황에 맞춰 부동산의 가치는 변화하니까요! 움직이지도 않는 놈(?)이 뭐길래 지난 몇 년간 우리를 울리고 웃기는 건지. 2023년에는 "부동산 때문에"라는 말보다 "부동산 덕분에"라는 말이 많이 들리는 한 해였으면 좋겠습니다. |
|
|
🎭 밸류맵 지역별 리뷰
읽을수록 재미있는 동네 카더라 |
|
|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아미리 - 부발이 핫한 지역인지 둘러보고 있습니다~ 땅을 잘 모르지만 좋은 투자처인 듯 하네요~^^ (by 후다**)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 - 월문리 도로 4차선 확장 진행하고 있으며, 진접에서 하남간 민자고속도로 27km가 계획중입니다. (by 홍익공인중**)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 서부산권중심해양권 발전으로 인한 향후개발에 굉장히 기대되는 도시가 될꺼예요. (by 날*)
🙆🏼♀️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 광주의 강남. 이 한마디로 설명이 끝나는 동네 (by dusti**)
🙆🏼♂️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 봉산동은 통신골목, 남산동인쇄골목, 대봉동 봉리단길 등 접근성이 아주 좋은 곳입니다. (by 몽땅비**) |
|
|
의견 보내기
밸류토픽은 여러분의 피드백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좋았거나 아쉬웠던 부분, 제안하고 싶은 의견을 보내주시면 참고하여 더욱 유익한 내용으로 담아보겠습니다. 보내주시는 관심에 항상 감사드리며, 모두 밸류업하는 그날까지, 밸류토픽은 달립니다.
|
|
|
밸류맵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20 2,3,4층 밸류맵, 02)2668-6033
Copyright ⓒ 주식회사 밸류맵 all rights reserved.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