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레터에서는 밸류맵이 꼽은 2022년 단독∙다가구주택과 공장창고 결산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 2023. 02. 07(화)
밸류맵 뉴스레터는 매주 2회 발송됩니다.
📌 화요일 부동산의 깊은 이야기를 담은 밸류토픽
📌 금요일 다양한 매물 소식을 만나볼 수 있는 금주의 매물 |
|
|
🗺️ 2월 둘째주 밸류토픽
재산세 등 세금 부과 기준이 되는 표준 단독주택의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약 6% 내린 수준으로 확정됐습니다. 단독주택에 대한 로망이 있으신 분들 많으실텐데요, 오늘 밸류토픽에서는 지난해 주택 거래 트렌드를 결산해볼게요 😉 |
|
|
📉 단독∙다가구주택 인기도 내리막길
2022년 전국 단독∙다가구주택의 월별 거래량과 평단가를 살펴봤습니다. 4월 거래량을 고점으로 8개월 연속 하락한 모습을 보였는데요, 2021년 대비 38.4%나 감소한 수치였습니다. 거래량 감소의 원인으로는 ①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금 조달 경색과 ②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대감 하락을 꼽을 수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거래량과 거래액이 얼마나 빠진걸까요?
|
|
|
🔽 단독∙다가구주택 거래량, 어디까지↘ 내려가는↘ 거에요↘?
2021년 전국 단독∙다가구주택은 총 9만 5,346건 거래됐지만, 2022년에는 5만 8,753건 거래에 그쳤습니다. 전년 대비 3만 6,593건이나 줄어든 거래량이죠. 특히 7월 이후로는 월평균 5천건대 거래량마저 무너지며 끝없이 추락했습니다. 총거래 금액도 2021년 45조 8,597억원에서 2022년 26조 7,055억원으로 감소했고요.
👀 평단가로 추세 살펴보기
5월까지는 3.3m²당 700만원에서 800만원 초반대를 유지하던 평단가도 하반기 들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평단가는 전국 평균이기 때문에 지역적 특색을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거래량과 더불어 추세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지표라고 할 수 있어요) 2021년 거래된 단독∙다가구주택 평균 평단가는 822만원에 달했던 점에 비해 2022년 평단가는 714만원으로 108만원(13.2%) 떨어졌습니다. 월별 평단가 평균의 경우, 하반기에 500만원대까지 하락하다가 12월에는 484만원까지 내려가기도 했어요.
|
|
|
☝🏼 평단가 하락을 보는 두 가지 해석 ✌🏼
1. 개발을 목적으로 한 수도권 고가 단독주택의 거래량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들며
지방의 실거주 목적 단독주택 거래만 이어지다 보니 평단가가 하락했다.
2. 부동산 급락기에 시세에 비해 가격이 낮은 매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졌다. |
|
|
🤑 매도자: 평당 800만원은 줘야지 vs 매수자: 500만 원이면 되지
단기간의 급격한 가격 변화는 시장에 악재로 작용될 수 밖에 없습니다. 아파트 시장과 비교했을 때 완벽하지 않은 시세 데이터로 인해 매도자나 매수자 모두 급격한 가격 변화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아 생기는 가격 분쟁 이슈가 특히 우려됩니다. 일례로 전년도 매가를 기억하는 소유자는 평당 800만원을 요구할 수 있지만, 최근 매수 사례를 확인한 매수자는 500만원대를 요구할 수도 있는 노릇이니까요.
|
|
|
🙌🏼 지역별 거래량 TOP10
주거시장에서 가장 큰 침체를 보인 대구지역의 거래량이 전년대비 66.1% 하락하며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가격도 21년 대비 15.5% 하락한 1,064만원에 그쳤습니다. 가격면에서는 경상남도(-11.8%), 울산광역시(-10.1%)의 평단가가 10%p 이상씩 하락했고, 경기도도 -9.1%로 거의 10%p 하락에 육박했고요. 거래량은 대구에 이어 부산 -55.4%, 울산 -54.4%를 기록했고, 서울도 -54.8%를 기록해 전체 하락률 3위에 올랐습니다. 단 서울의 평단가는 21년 대비 21.5% 상승하며 지방과는 다소 다른 행보를 보였습니다. 세종도 17.5%로 평단가 상승을 보였죠. 다만 월별 데이터를 별도로 살펴보면 하반기 가격 하락세는 서울 및 세종 모두 동일하게 일어나며 올해 상승세를 이어가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됩니다.
|
|
|
🍊 제주로 떠나는 사람들, 여전히 ing~?
전반적으로 거래량과 가격이 하락한 가운데, 그중에서도 거래량이 많은 지역을 살피기 위해 읍면동 기준 상위 20개 지역을 추려봤습니다. 상위 20개 지역 중 제주도가 3곳(7위 제주시 조천읍, 16위 제주시 한림읍) 올랐는데, 제주시 애월읍이 230건을 거래하며 전체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21년부터 다시 불고 있는 제주 이주 이슈가 통계상으로도 드러났다고 볼 수 있겠네요.
|
|
|
📊 밸류맵 NEW DATA
드디어 나왔다! 밸류맵 공장창고 데이터 대공개
|
|
|
국토교통부는 투명한 부동산 거래를 위해 2006년 아파트 실거래가를 시작으로 2012년에는 단독, 연립∙다세대∙다가구 실거래가를 공개하고,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오피스텔, 토지 아파트 분양권∙입주권과 상업∙업무용 실거래가를 공개해왔습니다. 그리고 지난해 7월부터 공장, 창고 등 비주거시설 6종에 대한 실거래가 17.8만건를 공개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그래서 밸류맵이 준비했습니다. 밸류맵 2022년 결산 <공장창고> 데이터 ✨
|
|
|
➖ 공장창고 거래건수는 빠졌는데
전국 공장창고 부동산 시장은 2022년 4월까지 상승세를 보였지만, 이후 10월까지 하락세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11월 기준 거래건수는 696건으로 전월대비 5.69%가 감소했고, 거래량 역시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4월(1645건) 대비 58%가 감소한 수준으로 거래절벽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죠.
➕ 그에 비해 평단가는 올랐다?
반면 작년 11월 평단가는 2175만원으로 전월(1920만원) 대비 13%가 상승했습니다. 10월 평단가가 전월대비 22.4%가 하락하면서 가격이 급락한 기저효과로 11월 평단가가 올라간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만 12월 평단가도 2100만원대를 유지할 것으로 추정돼 당분간 소폭의 상승이 이뤄지리라 예측됩니다. 대게는 거래건수가 감소하면 가격도 함께 낮아지지만, 공장창고는 거래건수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보합세를 보이고 있어 꾸준히 수요가 발생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
🤑 거래금액, 거래량 TOP5
2022년 11~12월 두달 간 공장창고 거래금액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서울 성동구로, 성수동2가 등에서 거래가 발생하며 두달 사이에 2800만원의 거래가 이뤄졌습니다. 금천구 가산동이 그 뒤를 이어 가장 많은 거래가 일어났는데, 지식산업센터 인근 소규모 공장창고 등의 거래가 주를 이룬 것으로 보여집니다.
|
|
|
🎥 밸류맵 유튜브
빌딩 숲 속 자리한 먹자거리 상권, 상암동 임장 |
|
|
🎭 밸류맵 지역별 리뷰
읽을수록 재미있는 동네 카더라 |
|
|
💡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아미리 - 부발이 핫한 지역인지 둘러보고 있습니다~ 땅을 잘 모르지만 좋은 투자처인 듯 하네요~^^ (by 후다**)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청호리 - 진위산업단지는 1번국도, 경부고속도로 인접 등 좋은 조건에도 불구하고 저평가 되어 있습니다. 향후 지속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by jeebyoung**)
💡 경기도 동두천시 지행동 - GTX가 덕정까지만 들어와도 동두천은 호재입니다. 신시가지에서 보산동까지 내려가서 타느니 강변도로타고 덕정역가서 탈겁니다. 심지어 양주 신도시에서 덕정역까지 나오는 시간하고 별 차이 안납니다. (by 사샤**)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 - 2627번지까지 새로 길이 났어요 상하수도도 생기고 (by 31185A696F9**)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 광안리 상권이 민락동까지 확장되고 있는 분위기네. (by yhana**) |
|
|
의견 보내기
밸류토픽은 여러분의 피드백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좋았거나 아쉬웠던 부분, 제안하고 싶은 의견을 보내주시면 참고하여 더욱 유익한 내용으로 담아보겠습니다. 보내주시는 관심에 항상 감사드리며, 모두 밸류업하는 그날까지, 밸류토픽은 달립니다.
|
|
|
밸류맵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20 2,3,4층 밸류맵, 02)2668-6033
Copyright ⓒ 주식회사 밸류맵 all rights reserved.
|
|
|
|